1. 특징

  • 잎 : 잎은 호생하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예두 예저이며 길이 4-8cm, 폭 1.5-5cm 로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나 있고 엽병이 짧으며 탁엽은 난형 또는 피침형으로서 일찍 떨어진다.
  • 열매 : 열매는 타원형으로 모과를 닮았으며 크기 10cm정도로서 가을에 누렇게 익으면 속은 딱딱하나 신맛이 나는 향기가 있다.
  • 꽃 : 꽃은 단성화로 지름 2.5-3.5㎝이며 짧은 가지에 1개 또는 여러개가 달리며 웅성화의 자방은 여위고 자성화의 자방은 살이 찌며 크게 자라고 소화경이 짭다. 꽃은 4월에서 5월까지 계속 피고, 꽃받침은 짧으며 종형 또는 통형이고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원두이고 꽃잎은 5개로서 원형,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며 밑부분이 뾰족하고 백색,분홍색, 빨강색의 3가지 색이 조화를 이룬다. 수술은 30-50개이고 수술대는 털이 없으며 암술대는 5개이고 밑부분에 잔털이 있다.
  • 줄기 : 가지는 비스듬히 서며 수피는 암자색이며 소지에 가시가 있다. 어린 가지에는 큰 탁엽이 있으나 일찍 떨어진다.
  • 원산지 : 중국 원산
  • 분포 : 경상도와 황해도 이남 지방에서 자란다.
  • 형태 : 낙엽활엽관목
  • 크기 : 키가 1-2m 안팎으로 자란다.

2. 생육환경

해가 잘 드는 양지 바른 곳을 좋아하며 건조한 곳에서는 생장이 좋지 않다. 토질은 배수가 잘 되면서도 보수력이 있는 사질 양토가 좋다. 지하수가 높은 곳은 겨울에 뿌리가 얼기 쉽다. 관수에 주의하여 흙이 마르지 않도록 할 것과 여름에는 직사광선을 피하고 반그늘에서 관리한다. 황해도 이남이면 정원수로 심을 만큼 내한성이 강하다.

3. 꽃/번식방법

번식은 씨와 꺾꽂이, 포기 나누기, 휘묻이 등이 있으며 특수한 품종은 접붙이기도 하나 일반적으로는 꺾꽂이로 번식시킨다.

4. 이용방안

정원수로 단식해도 좋고 다른 종류의 봄 화목과 혼식도 한다. 생울타리로 심어 잘 전정하면 훌륭하다. 절화로도 쓰이며 개량종은 주로 분화초로 가꾸어 꽃이 귀한 이른 봄의 실내 장식에 많이 쓰인다. 열매는 결실해도 낙과되는 것이 많으나 익으면 신맛이 있어 식초를 만들기도 한다. 명자꽃, 풀명자의 과실은 모과, 根은 모과근, 枝葉은 모과지, 종자는 모과핵이라 하며 약용한다.

모과

  • 9-10월에 과실이 익은 것을 따서 끓는 물에 5-10분간 삶아서 햇볕에 말린다.
  • 성분 : Saponin, 사과산, 주석산, 구연산, 비타민C, flavonoid, tannin이 함유되었고 종자에는 cyan化水素酸이 들어 있다.
  • 약효 : 平肝, 和胃, 祛濕, 舒筋의 효능이 있다. 구토, 下痢, 근육경련, 류머티성 마비, 脚氣, 水腫, 이질을 치료한다.
  • 용법/용량 : 4.5-9g을 달여 복용한다. 또는 丸劑, 散劑로 복용한다. 煎液으로 熏洗한다.

모과근

脚氣를 치료한다. 뿌리, 잎을 삶은 물로 정강이를 따뜻하게 적셔 주면 앉을 수 있게 된다. 風濕痲木에는 술에 담가 복용한다.

모과지

濕痺邪氣, 곽란 大吐下 katarrh에 의한 심한 구토, 下痢, 轉筋을 치료한다.

모과핵

곽란 煩燥氣急에 1回 7粒씩 白湯으로 같이 씹어 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