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미래덩굴은 백합과의 낙엽성 활엽수이자 덩굴성 관목으로 황해도 해안가 이남이지만 강원도 북부에 일부 분포하고 대부분 전라남북도와 경상남북도에 분포한다. 옛날에는 청미래덩굴잎은 차로 달여 마시기도 하고 담배 대용으로 피우기도 했으며, 여러 가지 독을 제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포닌 등의 성분들이 몸 안에 있는 독을 풀며 피를 맑게 하는 약리작용을 하는 것이다. 또한 민간요법에서는 위암, 식도암, 직장암의 치료제 및 당뇨병, 식욕증진, 구토감소, 식도협착의 소통, 이뇨, 체력 증강, 적혈구의 증가를 유지하는데 그 뿌리를 사용하고 있다.

  • 잎 : 잎은 호생하고 윤채가 있으며 혁질이고 길이 3-12cm, 폭 2-10cm이며 두껍고 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원저 또는 아심장저 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기부에서 5-7맥이 나오며 다시 그물맥으로 된다. 엽병은 길이 7-20mm이고 탁엽은 덩굴손이 된다.
  • 꽃 : 꽃은 이가화로서 5월에 피며 황록색이고 산형화서는 엽액에 달리며 화경은 길이 15-30mm, 소화경은 길이 1cm정도이다. 화피열편은 6개로서 긴 타원형이고 뒤로 말리며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고 자방은 긴 타원형으로서 3실이며 끝이 3개로 갈라진다.
  • 열매 : 열매는 둥글고 지름 1cm정도로서 9-10월에 적색으로 성숙하며 명감 또는 망개라고 한다. 종자는 황갈색이며 5개 정도이다.
  • 줄기 : 원줄기는 마디에서 굽어 자라며 길이 3m에 이르고 갈고리같은 가시가 있다.
  • 뿌리 : 근경은 땅속에서 길게 옆으로 뻗으며 육질이 딱딱하고 불규칙하게 휘어지며, 드문드문 수염뿌리가 난다.

2. 종류

유사종으로는 좀청미래덩굴, 청가시덩굴, 민청가시덩굴, 좁은잎밀나물, 선밀나물 등이 있다.

좀청미래덩굴

좀청미래덩굴은 백합과에 속하는 낙엽활엽만경목으로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표고 1,600m 이하의 양지에서 자생하며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잎은 길이 1~5㎝, 폭 0.7~4.3㎝로 넓은 타원형이고 5맥이 있다. 9~10월이면 지름 1㎝내외의 둥근 열매가 한 곳에 5~10개씩 모여서 빨갛게 익으며 종자는 황갈색이다. 암수딴그루로서 5월에 황록색의 꽃이 핀다. 줄기가 곧게 서고 가지가 많다. 높이 20~50㎝정도 된다.

청가시덩굴

청가시덩굴은 백합과에 속하는 낙엽성활엽덩굴성관목으로 우리나라 전국 산야에 자생한다.잎은 어긋나기하며 난상 타원형, 난상 심장형이고 털이 없으며 길이 5~14cm, 폭 3~9cm로서 가장자리가 물결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 부분은 약간 심장저이고 표면은 녹색으로서 털이 없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약간 윤채가 있으며 밑 부분에서 나온 5~7맥이 다시 그물맥으로 된다. 엽병은 길이 5~15mm로서 중앙부에 탁엽이 변한 1쌍의 덩굴손이 있다. 열매는 장과로 둥글며 지름 7~9mm로 9~10월에 흑색으로 성숙한다. 꽃은 이가화로서 6월에 피며 황록색이고 길이 2~3mm로서 넓은 종 같으며 잎겨드랑이에 우상모양꽃차례로 달리고 꽃대는 길이 15mm이다. 화피열편은 6개로서 타원형이며 다소 육질이고 길이 2~3mm이며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길이가 5m에 달하며 원줄기는 녹색이고 능선과 곧은 가시가 있으며 가지는 녹색으로서 흑색 반점이 있고 털이 없다. 길이는 5m에 달한다.

민청가시덩굴

민둥청가시라고도 불리는 민청가시덩굴은 백합과에 속하는 낙엽활엽만경목이다. 함경북도를 제외하고 전국적으로 자라며, 길이가 5m에 달한다.잎은 어긋나기하며 난상 타원형 또는 난상 심장형이고 털이 없으며 길이 5~14㎝, 폭 3~9㎝로서 가장자리가 물결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 부분은 심장저이고 표면은 녹색으로서 털이 없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약간 윤채가 있으며 밑 부분에서 나온 5~7맥이 다시 그물맥으로 된다. 엽병은 길이 5~15㎜로서 중앙부에 탁엽이 변한 1쌍의 덩굴손이 있다. 열매는 둥글며 지름 7~9㎜로서 9~10월에 장과처럼 흑색으로 익는다. 꽃은 6월에 피고 길이 2~3㎜로서 넓은 종 같으며 우상모양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화경은 길이 15㎜이다. 화피열편은 6개로서 타원형이며 다소 육질이고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줄기는 길이가 5m에 달하고 원줄기는 녹색이고 능선이 있으며 가지는 녹색으로서 흑색 반점이 있고 털은 없으며 원줄기에 가시가 없다.

좁은잎밀나물

좁은잎밀나물은 백합과에 속하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로 우리나라 전국적으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모양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밀나물보다 잎이 좁다. 5~7맥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은 심장저 또는 원저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표면은 녹색으로서 털이 없으나 뒷면 맥위에 잔돌기가 있는 것도 있다. 엽병은 길이 5~30㎜로서 밑 부분에 탁엽이 변한 덩굴손이 있다. 꽃은 5~7월에 피며 우상모양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오고 화경은 엽병보다 훨씬 길며 길이 7~12㎜의 꽃자루가 15~30개 정도 달린다. 수꽃의 화피는 뒤로 젖혀지고 피침형이며 길이 4㎜정도로서 황록색이고 수술은 화피 길이의 2/3~4/5이다. 꽃밥은 길이 1.5㎜정도이며 암꽃에 꽃밥이 없는 수술은 없고 열매는 둥글며 흑색으로 익는다.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능선이 있다.

선밀나물

선밀나물은 백합과에 속하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로 우리나라 전국에 분포한다.잎은 어긋나기하고 길이 5~15cm, 폭 2.7~7cm로서 넓은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은 원저, 절저 또는 심장저이다. 잎맥은 5~7개이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다소 분백색으로서 털은 없으나 소돌기가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엽병은 길이 1~4cm로서 탁엽이 변한 1쌍의 덩굴손이 달려 있다. 열매는 장과로서 흑색으로 익고 백분으로 덮여있으며 둥글다. 지름 6~10mm이다.

3. 분포

세계적으로 중국, 미얀마, 필리핀, 태국, 베트남, 대만, 일본에 분포하며 국내에서는 황해도 해안가 이남이지만 강원도 북부에 일부 분포하고 대부분 전라남북도와 경상남북도에 분포한다. 특히 천연기념물 제40호로 지정되어 있는 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 예송리의 상록수림에도 청미래덩굴이 자생한다.

4. 형태/구조

잎은 어긋나기하며 넓은 타원형이고 윤채가 있으며 가죽질이고 길이와 폭이 각 3~12cm × 2~10cm로, 둥글거나 넓은 타원형이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턱잎은 덩굴손으로 발달한다.

5. 식물학적특성

백합과에 속하는 낙엽성 활엽수이며 덩굴성 관목이다.

6. 용도

어린 순은 나물로 먹으며 잎은 발계엽이라 하며 약용한다.찹쌀떡을 만들 때 떡을 싸는 데 쓰기도 하며, 옛날에는 차로 달여 마시기도 하고 담배 대용으로 피우기도 했다.

  • 어린 순은 나물로 먹으며 열매는 식용한다.
  • 잘 익은 열매는 꽃꽂이에 이용한다.
  • 과수원의 생울타리나 정원의 간막이 장식용으로 아주 훌륭하다.

7. 효능

사포닌 등의 성분들이 몸 안에 있는 독을 풀며 피를 맑게 하는 약리작용을 하여 여러 가지 독을 제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根莖은 발계, 잎은 발계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발계

  • 청미래덩굴 및 同屬 近緣植物의 근경을 2월이나 8월에 근경을 캐어 잔뿌리를 제거하여 깨끗이 하여 햇볕에 말린다. 토복령을 대용한다.
  • 성분 : 근경에는 diosgenin과 diosgenin으로 구성된 다종의 saponin이 함유되었고 또 alkaloid, phenol류, aminotks, 유기산, 당류가 들어 있다. 종자에는 粗脂 11.2%가 함유되었고 지방에는 linoleic acid 39.1%, oleic acid 48.4%가 함유되어 있다.
  • 약효 : 祛風濕, 利小便, 消腫毒의 효능이 있다. 관절의 疼痛, 筋肉痲痺, 설사, 이질, 水腫, 淋病, 정창, 腫毒, 痔瘡을 치료한다.
  • 용법/용량 : 9-15g을 달여 복용한다. 술에 담그거나 또는 丸劑, 散劑로 복용한다. 煎液으로 熏洗한다.

발계엽

  • 잎에는 rutin을 함유하고 있다.
  • 약효 : 風腫, 瘡癤, 腫毒, 염창, 화상을 치료한다.
  • 용법/용량 : 술에 담가 복용한다. 짓찧어서 또는 분말로 조포한다.